반응형

Programming/NodeJs 13

Hello Nestjs

Google에서 만든 V8엔진이 JavaScript의 성능을 비약적으로 개선되면서, JS를 이용해 서버도 돌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시작됐고 Nodejs가 탄생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Nodejs를 이용해서 프로덕트를 구축하는 기업도 많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앞으로 더욱 발전할 것이라 기대된다. 보통 노드를 이용해서 서버를 구축한다고하면, 기본(default)으로 제공되는 모듈을 이용해서 만드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노드 진영에서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프레임워크로는 Expressjs가 있다. 미들웨어(Middleware) 패턴을 이용해서 빠르게 서버를 구축할 수 있으며, 미니멀(Minimal)하고 러닝 커브(Learning Curve) 또한 적어서 쉽게 적용할 수 있다. 현재 V4..

Programming/NodeJs 2019.04.04

React Server Side Rendering

+ 추가SSR에 대해 아티클을 작성한지 어느덧 2년이 되어간다. 그동안 Webpack, Babel, React 버전이 올라감에 따라 프로젝트의 설정방법과 몇몇 API가 변경되었다. 따라서 가장 최신으로 SSR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다시 글을 작성했다. Next.js 같은 좋은 프레임워크도 있지만 프레임워크에는 커스터마이징에 한계가 있으므로, 이 글에서는 직접 만들 경우엔 어떻게 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소스코드는 Github에 올려두었으므로 참고하길 바라며, 사용한 라이브러리와 툴은 아래와 같다. Babel 7Webpack 4React 16.7.x 작년과 올해 들어 가장 각광받는 JavaScript Library를 뽑아보면 React도 그 안에 들어갈 것이다. React의 장점을 생각해보면 V..

Programming/NodeJs 2017.04.30

nodejs error handling

오늘은 nodejs framework로 많이 사용하는 Express의 error handling에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자. Express에서 어떻게 어플리케이션을 구조화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어플리케이션의 규모 및 참여하는 팀의 규모에 따라 구조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구조에 대한 전제조건을 배제하려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Express를 사용해 보면 Spring이나 Nginx에 비해서 굉장히 자유롭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렇다면 error handling은 어떻게 해야 할까? 공식 문서를 보더라도 오류 처리에 대한 설명이 매우 간결하다. 정말 별 내용이 없다. 따라서 error handling을 하면서 궁금했던 몇가지 점이 있었는데,..

Programming/NodeJs 2017.04.23
반응형